1
VSCode terminal에서 harlequin을 실행한 모습

Mariadb Docker 환경(Github)을 하나 만들어 두려고 Dockerfile을 만지작거리고 있다보니 얼마전에 Geeknews에서 본 harlequinuuid를 PK로 가지는 것에 대한 논의가 혼합되면서 이왕이면 하는 생각으로 적용시켜보기로 한다.

사실 UUID의 경우 프로젝트에서 interface 전문의 PK로 많이 사용하기는 했지만, V4였기 때문에 조금 아쉬움이 있었다.(내가 생성하는 주체가 아니었기 때문에 V7으로 못했었다.)

mariadb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uuid() function은 아마도 v1인거 같아 따로 function을 만들어 넣었는데, 데이터 생성후 성능테스트까지는 안해봤다.

harlequin은 처음에 host에서 구동 할 생각이었으나, 특정 작업을 진행하는 도구로서 terminal은 언제나 아쉬움이 있기에 함께 넣어봤다.

Read 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