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살펴 볼 목록들 (시작)
2024년 프로젝트 진행하느라 링크만 남겨뒀던 것들을 주워모아 본다.
지인
바닐라 프론트: 이병옥 대표가 드디어 릴리즈 했다.
ETL or Data Process
아래 4개가 도출되었음
airflow - 아직까지는 가장 범용적 a platform created by the community to programmatically author, schedule and monitor workflows
Prefect Cloud 버전을 테스트중. local은 찾아보고 있음.
Mage 홈페이지에 AI틱한 문구를 띄우고 있지만.
dagster - data pipeline oneline solution? “Data engineering doesn’t need to be a drag”라는데?
luigi - build complex pipelines of batch jobs 간단한 깃헙 페이지?
Data Journey: ETL을 의미하는거 같지는 않고. 전반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과 방법들의 How To? 정도가 아닐까?
dbt - Data Build Tool dbt는 transform에 중점을 두고 있는 도구이다.
Bruin: 이 녀석은 dbt를 따라하는 듯. 좀더 간단하다.
Python Package Manager
pixi: Pixi is a package management tool for developers.
uv:An extremely fast Python package and project manager, written in Rust.
누군가는 pixi를 사용하고 있고, 누군가는 uv를 사용하고 있는데, 아직은 그 차이점을 정확하게 모르겠다.
traefik - Application Proxy 오픈소스버전의 dagster에 인증기능없어서 찾다가 이런 것을 활용하는 사람도 있다고 Reddit에서 봄
1년 달력: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1년 달력이 필요 할 때가 있다.
TSBOARD: Go로 만들어진 게시판 Backend. 당분간 GO를 한 번 해 볼 요량이기는 하다.
SSE Server-Sent-Event: WebSocket도 아직 시험해 보지 못했는데 SSE라는 녀석을 보게되었다. 어디다 써 먹을런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분명 살펴 볼 의미가 있을것이라 생각한다.
초보자를 위한 AI Python: 증미역 인근에서 진행했던 AI프로젝트 이후 거의 신경을 못쓰고 있었으니, 다시 한 번 살펴보는 계기를 만들어 보자.
Nullboard: 칸반보드를 단일 HTML로 구현했다고 하니. 이론상으로는 File로 저장해서 사용 할 수 있다.
24년 TED강연들: 가끔씩은 TED강연을 보며, 지루함을 아니 고갈되어버린 호기심을 채울 수 있을런지도 모른다.
VictoriaMetrics: 시계열을 다루는 솔루션. 엔터프라이즈 버전도 있는거 같고. 과연 의미가 있을런지는.
장고 설계철학으로 시작하는 파이썬 장고 입문: 이진석씨가 인프런에 있는 강의를 무료로 전환했다.
Kyanos - eBPF 기반의 네트워크 이슈 분석 도구: 네트워크 구간 소요시간 분석. 뭐 그런 종류일거 같기는 하다.
2024 데이터 엔지니어링 진입 로드맵: 어디로 가야하는지 갈팡질팡하는 내 모습을 보며, 살펴 볼 것들은 많지만. 사실 마음이 붕 떠서 그렇다.
Rust 프로그램 기본: Go인가? Rust인가?
Clace - 내부 도구들을 위한 웹앱 관리 서버: 관리를 위한 관리툴.적인 느낌인데. 조금 해 보지만, 로그인에 성공하지 못했다.
HTML to React: 이게 과연 의미가 있을까 싶음.
JetBrain Rider - .Net IDE: 아직 .Net에 대한 미련을 못버렸다
jq - JSON CLI: 구지? 주로 디버깅이 가능해야 하니, CLI에서 사용 할 때가 있기는 할 거 같기는 한데.
Wiki.js: Local에 설정 해 본 느낌은. 나쁘지 않으나. 직원들에게 이것을 제공하는 것이 맞는가 싶다.
openobserve - 모니터링: k8s가 있다면? 원래 이런 종류가 좀 포함되어 있는거 아니었나? local에 대한 부분도 있는데, 과연. 의미가 있을런지는.
scalene - 파이썬 프로파일러: Excel Writer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는 상황을 검토 해 보고 싶기는 함.
visprex - 브라우저 단독 CSV Chart: 의미가?
json4u - JSON UI Editor: NPM으로 만들어졌으나.
HFS - 웹 파일서버: 자체 인증서 생성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핵심인거 같음. 델파이 버전도 있음.
Gokapi - 파일공유 서버: Go로 만들어진 경량 서버?
Enjoy Reading This Article?
Here are some more articles you might like to read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