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 계산하는 방법
좋은 질문이에요! 서브넷을 계산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설계의 핵심이고, 이해해두면 IP 계획할 때 정말 유용합니다.
🧮 서브넷 계산 방법 요약
1️⃣ 기본 개념
- IP 주소는 32비트 (IPv4 기준)
-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 중에서 네트워크/호스트 구분을 위한 비트 수를 나타냄
예:/24→ 상위 24비트는 네트워크, 나머지 8비트는 호스트
2️⃣ 공식
✅ 서브넷당 IP 수 = 2^(32 - 서브넷 비트 수)
- 예:
/24→2^(32-24) = 2^8 = 256개 IP
그중 2개는 항상 예약됨:
- 네트워크 주소
- 브로드캐스트 주소
→ 따라서 사용 가능한 IP 수는전체 - 2
3️⃣ 서브넷 계산 절차
예시: “최소 2000개의 호스트 IP를 수용할 수 있는 서브넷 필요”
-
호스트 수 계산
필요한 IP 수 ≥ 2000 + 2 = 2002
→2^11 = 2048→/21서브넷 필요 (32 - 11 = 21) -
가능한 서브넷 블록 찾기 (지정된 대역 내에서)
예:10.1.0.0/21=10.1.0.0 ~ 10.1.7.255
4️⃣ 자주 쓰는 서브넷 테이블 (암기용)
| 서브넷 | 총 IP 수 | 사용 가능 IP 수 |
|---|---|---|
| /30 | 4 | 2 |
| /29 | 8 | 6 |
| /28 | 16 | 14 |
| /27 | 32 | 30 |
| /26 | 64 | 62 |
| /25 | 128 | 126 |
| /24 | 256 | 254 |
| /23 | 512 | 510 |
| /22 | 1024 | 1022 |
| /21 | 2048 | 2046 |
| /20 | 4096 | 4094 |
5️⃣ 도구 추천
- CIDR 계산기: https://www.subnet-calculator.com/
- 또는
ipcalc(리눅스 CLI 툴):
ipcalc 10.1.0.0/21
필요하면 직접 계산하는 Python 코드도 만들어줄 수 있어요.
혹은 특정 대역에서 몇 개 서브넷 나눌지도 계산 도와줄게요 😊
궁금한 케이스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