챔프정보, 공군중앙전산소 형상관리 공급 계약
함께 컨설팅을 수행하고 계신 (두 딸아이의 아빠) 정과장님께서 열심히 대전 계룡대쪽에서 수행을 하고 계십니다. :)
형상관리 솔루션을 자체 개발하여 보유하고 있는 챔프정보(대표이사 박옥구, www.champit.co.kr)는 공군중앙전산소에 형상관리솔루션 공급계약을 체결하였다.
공군중앙전산소 형상관리 솔루션은 다양하고 복잡해진 공군 개발체계에 부합하고, 효율적인 통제를 반영하여 구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공급된다.
특히, 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Eclipse 개발도구에 Plug-in되어 개발자들이 개발과정에 Eclipse도구를 사용하여 체크인/아웃과 이행요청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챔프정보 공공/국방부문 영업을 담당하고 있는 이재민상무는 다음과 같이 2009년 사업의 의지를 밝히고 있다. “공군중앙전산소 형상관리 공급을 계기로, 공공/국방부문의 SI사업과 솔루션사업의 결합을 통해서 시너지를 발휘 할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2009년에는 챔프정보가 많은 준거사이트를 보유하고 있는 금융/제조부문에서 확대된 공공/국방영역에서 좋은 결실이 있을것입니다.”
한국OOO 혹은 OOO코리아.
핸디소프트의 매각과 (곧)있을 한글과컴퓨터의 매각 소식을 접하고 있는 현실에서, 어제(29일, 수) 전자신문 특별판 “다국적 IT기업” Section을 살펴보고는 국내 IT산업의 현주소가 외국산 솔루션으로 가득차 있구나라는 생각밖에 들지 안습니다.
어디 국산솔루션 전문개발사 포럼이라도 만들어야 할까 봅니다. :)
SDS, LG CNS… 등 대형 SI사업자만 있을뿐, 대형솔루션 개발사는 부족한 현실에서, 실루엣팀이 가져야 하는 Roll Model또한 고민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간간히 들려오는 티맥스사의 어려운 소식은 국산 솔루션 벤더가 질적으로 그리고 양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이 무척이나 어려운 사항임을 절감하게 합니다.
Clearvision - 우리나라에도 형상관리 컨설팅그룹이 가능 할까?
형상관리 관련 정보를 찾다가 발견한 사이트 입니다.
Clearvision
- The Leading Independent Software Change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Specialists
Clearvision에서 제공하고 있는 단순한 Product Line만 보더라도 그들이 하고 있는 작업을 유추하게 합니다.
CQ2SVN - Clearquest to Subversion CC2SVN - Clearcase to Subversion UCM4SVN - Unified Change Management for Subversion Jira2SVN - Jira to Subversion RAM2SVN - Rational Asset Manager to Subversion Codebeamer - Subversion 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Tool
몇년전에 수행하였던 금융권 프로젝트에서, 외주 인력으로 투입된 “품질담당자"를 대하는 PM님의 수준이, {문서정리하는사람}으로 평가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형상관리 [원격지개발]에 대한 용어 이야기
실루엣 형상관리솔루션을 컨설팅하면서 고객에게 요구사항을 해결하는 솔루션을 설명하다 보면, 분명 동일한 용어인데 벤더에 따라 너무나 상이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혼동이 자주 발생합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원격지개발]이라는 용어 입니다.
IBM ClearCase의 경우 [원격지개발]을 지원하기 위해서 MultiSite라는 제품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IBM MultiSite 제품소개, 한글)
상황에 따른 정의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Case 1 -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개발팀이 상호 독립적인 레파지토리를 가지고 개발을 진행하면서, 필요한 시점에 레파지토리를 동기화 시키는 방안(IBM MulitiSite)
Gatner Magic Quadrant for Software Change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for Distributed Platforms
가트너의 ALM 시장 벤더에 대한 보고서가 Serena를 통해서 메일로 배포되었습니다.
관련업계에 관한 내용이라 한자도 빠지지 않고 보았는데…공감하는 내용도 많았고, 수긍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습니다.
GartnerMQ-SCCM-2009.pdf
혹시 외산 ALM 형상관리 도구의 도입을 검토하고 계신분들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7Page 부터 나오는 각 제품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국내에 딜리버리 되는 제품과 아닌 제품이 있는 관계로 몇몇 제품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정곡을 찌르는 몇줄은…
8 Page: Borland - The company’s sales team need to continue to build…
Alex you are under 18 years old,
Alex you are under 18 years old, DO IT NOW, DO IT NOW.
- Flash Dance. 1983 -
이런, 저런일로 머리가 복잡한 하루였는데 말입니다.
이리 저리 뒤척이다 보기시작한 Flash Dance에서 주인공 알렉스의 할머니가 해주는 이야기가 가슴을 울립니다.
내가 18살에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면 어떤 기분이었을 까요?
여러분은 지금 몇살인가요? 지금 해야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
한RSS 디렉토리 등록
한RSS 디렉토리
이것은 솔루션을 활용하는 적절성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적절한 카테고리는 HCI?에 가깝겠군요.
![]() |
|---|
| HAN RSS |
사랑해 마지않는 한RSS에서 디렉토리에 등록요건이 자유화되었다는 공지를 읽고 시도해 보면서, RSS 피드를 이용한 RSS의 등록을 보았습니다.
당연한 것일까요? (실루엣팀의 소스코드는 실루엣을 사용하여 관리되고 있습니다.)
늘 실루엣의 소스코드관리를 사용자들에게 이야기 해 주면서, 실루엣이 실루엣을 관리하는 것이 매트릭스에서 기계에 의해서 관리되는 인간같은 느낌이라고 말곤 하는데 말입니다. 인간의 부산물(단백질)을 녹여서 다시 인간에게 주입하는…
“RSS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RSS를 발행하십시오.“라는 생각은 너무나 당연한것이라 오히려 신선한 모습일까요? 다른 RSS Reader업체들도 이렇게 등록 하는 것일까요?
챔프정보,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 공급
최근 컨설팅한 사이트를 무사히 오픈했습니다.
흔히 차세대라고 불리우는 신시스템용 형상관리를 오픈하는 것은 늘 조마조마 합니다. 일반적인 SM환경의 형상관리를 오픈하는 것과는 압박(Press)의 강도가 전혀 다릅니다.
이번에 구축된 실루엣에 축적되는 개발자의 행동패턴자료를 분석해서 신시스템 오픈 할 즈음해서 보고자료를 한번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 http://www.snh.co.kr/index.asp?s=data&m=bodo&searchkey=&search=&p=1&inc=&seq=98&msg=
챔프정보,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 공급
형상관리 솔루션 전문업체인 챔프정보(대표이사 박옥구, www.champit.co.kr)는 우리투자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 공급에 이어서, 국내 대형 증권사인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 형상관리 솔루션 실루엣의 공급을 4월 6일 완료하였다.
굿모닝신한증권 신시스템은 주요 개발환경으로 TMAX ProFrame과 ITGen FormDesigner를 사용하고 있으며, 실루엣은 소스의 무결성 확보와 개발의 편의성 확보라는 두가지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서 실루엣과 ProFrame, 실루엣과 FormDesigner 시스템 간 연동을 구현하여 개발자가 간편하게 체크인/아웃 및 이행요청까지 연동 될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자체 제작한 버그관리 시스템도 훌륭합니다.
언제나 좋은 글을 올려주시는 Ray.전규현님이 50일동안 조사하신 버그관리시스템 사용현황을 올려 주셨네요.
Ray님은 가볍고, 무료인 버그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자체제작(인하우스)는 실패 가능성이 높다고 하셨는데… :)
사실입니다.!!!
그런데, 실루엣팀의 경우에는 조금 상황이 다르겠지요. 실루엣팀은 자체 제작한 버그관리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코드인사이드2"라는 녀석인데, 링크한 동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버그(이슈 혹은 워크아이템)이라는 기본골격과 상황에 따른 Template를 적용하기 위한 HTML Template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실루엣은 실루엣을 사용하여 버전관리를 하고, 코드인사이드2를 사용하여 이슈추적과 빌드+릴리즈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Ray님 설문에 응답하신 분들 중에서, 자체제작한 버그관리 시스템의 다양한 모습을 한번씩 구경 할 수 있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
오래된 문서 - 실루엣 형상관리 방안
Ray님과 버전관리에 대한 댓글을 주고 받다보니, 갑자기 예전에 실루엣을 개발해서 처음으로 실루엣의 소스를 실루엣에 올렸던 기억이 납니다.
개밥이라고 하죠 :)
벌써 3년이나 지난 문서를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인 CodeInside2에서 찾아 봤습니다.
지금 보면 초라하기 짝이 없는 문서이지만, 팀 자신이 판매하는 도구를 자신이 직접 사용 해 봄으로서 아주 귀중한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소스관리시스템을 사용하면 당연히 안정성이나 빌드통합 등의 기초가 되기도 하지만, 실루엣팀이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통계치 축적을 통한 “작업 공수 추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