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ananysis Course 2
Course 2
- Data storage
- Data connection
- Data types
- Data structures
- Table schemas
- Batch and streaming data processing
- Denormalized data
- Data governance
- Metadata
- Data catalogs
- Data lakehouse architecture
- Dataplex
- Identify and trace data sources
- Access data libraries
- Explore data reference architectures
- Manage tables in BigQuery
- Add and export data
- Query tables
- Access data from Google Cloud services
- Manage Dataproc
- Benefits of data partitioning
Manage Access Control with Google Cloud IAM | Google Cloud Labs 통찰력은 그것을 얻은 데이터만큼만 유효합니다. 시작하기 전에 데이터 소스가 정확하고 전반적인 그림을 정확하게 나타내는지 확인하세요.
Systems of Record(SOR)란?
Google Data storage and connection이라는 강의를 보고 있는데, Systems of record라는 단어가 나왔고. 그 번역을 보고 있으려니 무슨 개소린가 싶었지만.
금융권 기준으로 계정계를 말하는것으로 생각해도 될 거 같기는한데. 기술이 어려운게 아니라. 문화적 용어가 상이해서 어렵다.
**System of Record (SOR)**과 **Transactional Database (TDB)**는 관련 개념이지만, 목적과 역할이 다릅니다. SOR은 데이터 관리의 개념, TDB는 데이터 저장소의 유형입니다.
이렇게 설명하면 말이된다.
🔹 Systems of Record(SOR)란?
**System of Record (SOR)**는 기업이나 조직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공식 데이터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즉, 특정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보관하고 유지하는 “진실의 단일 원본(Single Source of Truth)” 역할을 합니다.
AI-driven business transformation
Image Sample
![]() |
|---|
| MS AI Simmit. Seoul. 2025 |
AI-driven business transformation
내 나이또래는 늙어서 해당 없을줄 알았는데 이달초부터 터지기 시작하는 MCP를 보면서 갸웃하고 있었는데.
이 문장을 보는 순간 더 빨리 적용되어 영향을 받을수도 있겠다 싶다.
rocky linux + SELinux + 502 Bad Gateway
Rocky linux에서 갑자기 무슨 생각인지 dnf update를 날리고 나서 몇일 있다가 보니.. 서비스가 전부 죽어있다.
GPT에 대충 던저보니. iptable 어쩌구 저쩌구 하는 메시지를 알려준다.
따라하다가 생각해보니. 이건 아니다 싶어. 다시 iptable을 죽이고 생각한다.
SELinux인거다.
# SELinux 로그에서 관련 오류가 있는지 확인:
sudo ausearch -m AVC,USER_AVC -ts recent
# 만약 SELinux가 문제라면 아래 명령어로 허용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sudo setsebool -P httpd_can_network_connect 1
# 위 설정 후 Nginx를 재시작하세요.
sudo systemctl restart nginx
다시 살리기는 했지만 말이다.
Barcode Battle
컨셉
사용자가 바코드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이미지의 URL을 입력하면, 해당 바코드로부터 임의의 값을 추출 해서 전투에 적절한 속성을 반환하고 경쟁하는 게임.
Develop GenAI Apps with Gemini and Streamlit Skill Badge
evelop GenAI Apps with Gemini and Streamlit Skill Badge은 사실 Streamlit에 혹해서 시작해본 녀석이었으나 진행을 해보니 Docker build하고 deploy하는 과정이었다.
requirements.txt
처음 제공되는 requirements.txt에 2개가 빠져있는데, 아무생각없이 pip로 설치만 했다가, 나중에 docker deploy하고 나서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없다고 나와서 지우고 새로 올리는 사태가 벌어졌다.
pip install google.cloud-logging
pip install vertexai
# requirements.txt에 빠진내용
pip freeze > requirements.txt
# 나중에 docker build 할 때 requirements.txt 사용된다는 점을 생각하자.
export 변수명
중요하게 사용되는것은 project와 region인데.. 물론 다 하드코딩으로 하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겠지만, 치환해서 사용하려면, 좀 보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GData ananysis Module 1
[Data lifecycle]
Introduction to the data management
-
회사가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수 수집한다고 가정.
-
모든 사용자가 전체 데이터에 접근 할 수 있다면 재앙이 됨. –> Data Management
-
Data Management는 수집, 저자으 활용에 대한 명확한 계획을 수립하고 전달하는 과정
-
각 단계에 대한 처리과정을 모든 직원이 이해할수 있도록 계획수립. == 데이터 거버넌스라고도 부름.
- 원할한 협업이 보장. 문서화된 절차에 따라 데이터에 엑세스 할 수 있음으로. 데이터는 거버넌스 및 규정 준수 요구사항 내에서 유지.
- 데이터 보안 프로그램 지원. 데이터 침해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매개변수를 설정하는데 도움.
- 명확한 절차를 갖추어 확장성을 높이는데 도움.
-
고려 핵심 측면.
PGVector
postgres를 사용하면서 개발 생성하는 user에 superuser role을 부여하지는 않았었는데, vector extension을 사용할려고 보니 부여하는게 간편하다.
SELECT * FROM items ORDER BY embedding <-> '[3,1,2]' LIMIT 5;
Supported distance functions are: <-> - L2 distance <#> - (negative) inner product <=> - cosine distance <+> - L1 distance <~> - Hamming distance (binary vectors) <%> - Jaccard distance (binary vectors)
지원되는 거리측정 표현이다.
Automation Bias
GPT와 같은 도구를 사용 할 때 항상 의심하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그리고 그 의심을 전제하지 않은 사용자가 만약 지인이라면 그것을 전제 하도록 이야기 해 줘야하는 것 아닐까?
**자동화 편향(Automation Bias)**은 사람들이 자동화된 시스템(예: AI, 알고리즘, 자동화 도구 등)의 결과나 권고를 지나치게 신뢰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사고나 추가적인 검증을 소홀히 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 자동화 편향의 주요 특징
- 과도한 신뢰: 자동화 시스템이 항상 정확하고 오류가 없다고 가정하는 경향이 있음.
- 검증 부족: 사람이 직접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추가적인 판단을 내리지 않고 자동화된 결과를 그대로 수용함.
- 실수 간과: 자동화 시스템이 오류를 발생시켜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중요하게 여기지 않음.
- 의사 결정 능력 저하: 지속적으로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존하면 사람의 독립적인 사고와 판단력이 약화될 수 있음.
🚨 자동화 편향의 예시
- 의료 진단: AI 기반 진단 시스템이 잘못된 판단을 내렸을 때, 의사가 이를 검토하지 않고 그대로 환자에게 적용하는 경우.
- 자동 조종 장치: 항공기 조종사가 자동 조종 시스템을 지나치게 신뢰하여, 이상 상황에서도 직접 개입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 금융 거래: 알고리즘 기반 주식 거래 시스템이 오류를 일으켜도, 투자자가 이를 믿고 추가적인 검토 없이 매매를 진행하는 경우.
✅ 자동화 편향을 줄이는 방법
- 이중 검토(Double-Checking): 자동화 시스템의 결과를 사람이 직접 검증하는 절차 마련.
- 비판적 사고 강화: 자동화된 결정이 항상 옳다고 가정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의문을 갖고 분석하는 습관 기르기.
- 교육 및 훈련: 사용자가 자동화 시스템의 한계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제공.
- 책임 분배: 중요한 의사 결정에서는 사람이 최종적으로 판단을 내리는 구조를 유지.
자동화는 효율성을 높여주지만, 맹목적으로 의존하면 오히려 문제가 될 수 있어요. 따라서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하되, 항상 사람의 개입과 검증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HP Envy + Freezing
리퍼로 몇 년 전인가 사서 방치하다가 개발용 머신으로 세팅해서 사용하는 녀석이 가끔 화면이 Freezing되는데, 마우스 커서는 움직이는데, 그 아래있는 화면이 응답이 없는 현상에 대해서 원인이 무엇일까 몇 달을 착고있다.
GPT에게 물어봐도 다 해본 방법밖에 없는 것을 보니. 이건 다른 문제인가 싶기도 하고.
Arch Linux에서 AMD 그래픽 카드가 멈추는(freezing) 문제를 점검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시스템 로그 확인 (freeze 원인 분석)
Freeze의 원인을 파악하려면 로그 확인이 필수입니다.
1.1 dmesg 로그 확인
sudo dmesg -l err,crit,alert
- 시스템 부팅 후 발생한 오류(error), 치명적(critical), 경고(alert)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amdgpu관련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sudo dmesg | grep -i amdgpu
amdgpu드라이버에서 발생한 오류만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1.2 journalctl 로그 확인
sudo journalctl -p 3 -xb
- 현재 부팅(
-b)에서 발생한 심각한(-p 3) 오류만 출력합니다. amdgpu관련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sudo journalctl -k | grep amdgpu
- 커널 로그에서
amdgpu관련 메시지만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 2. AMD 드라이버 상태 점검
2.1 lsmod로 AMD 드라이버 확인
lsmod | grep amdgpu
amdgpu모듈이 로드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면 드라이버가 제대로 로드되지 않은 것입니다.
2.2 lspci로 GPU 확인
lspci -k | grep -A3 "VGA"
- AMD GPU가 감지되었는지 확인하세요.
- 출력 결과에서
Kernel driver in use: amdgpu가 보이면 정상적으로 로드된 것입니다.
2.3 glxinfo로 OpenGL 드라이버 확인
glxinfo | grep "OpenGL renderer string"
- AMD GPU가 제대로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 이 명령어가 실행되지 않으면
mesa-utils를 설치하세요:sudo pacman -S mesa-utils
🔄 3. 커널 및 드라이버 문제 해결
3.1 최신 Linux 커널 또는 LTS 커널로 변경
최신 커널 사용 중인데 문제가 발생하면 LTS 커널로 변경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