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ow you will find pages that utilize the taxonomy term “Backend”
java + mybatis + foreach
오래간만에 Java로 프로젝트를 할 일이 생겨서 하다보니 기본적인 것을 헤매고 있다. (무려 3시간이나 삽질하다 금요일 저녁 포기하고 퇴근했다.)
문제는 mybatis에서 foreach를 사용하는데, in sql의 조건으로 list를 넘기는 부분이 생각했던 것이 아니었는데. (결국 1cm 빗나간것이 영 엉뚱한 짓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curl
- 결국 보내는 List변수명과 받는 List변수명이 일치해야 하는 것이다.
curl -X 'POST' \
'http://localhost:8080/test01/select01' \
-H 'accept: */*' \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d '{
"listTest01InVO": [
{
"id": "ID2"
},
{
"id": "ID3"
}
]
}'
Java
List의 변수명을 잘 기억하자
email + eml + sync
# EML 파일명을 Maildir 규칙에 맞게 변경 (예: 타임스탬프 활용)
for eml in *.eml; do
new_name=$(date +%s%N).$(hostname).eml
cp "$eml" "/tmp/maildir/new/$new_name"
done
어쩌다 보니 이메일을 파싱해서 특정 보험건에 대한 요율을 추출해야 하는 상황이되어 제반 준비를 하다 발견했다.
위 shell에서 “date +%s%N"의 의미를 몰라 찾아보니.
date 명령의 형식을 지정하는 파라미터였다. 음. 위 방식을 unix 나노초를 반환하는 것이다.
그런데 뒤쪽의 hostname은 왜 필요한 것일까? (그냥 식별하는 용으로 보인다.)
gcp + apigee + SpikeArrest
![]() |
|---|
| SpikeArrest works |
apigee의 traffic management를 보다가 생각한다.
그 짧은 순간에 이전과 이후의 요청을 어떻게 구분한 것인지 말이다.
구글의 엔지니어들은 양동이 개념을 도입해서 요청이 들어오면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각 요청들을 하나의 양동이에 담고, 그 양동이 시간이 되면 퍼내는 식으로 구현을 했다.
참고할 만하다.
GCP + apigee + debug
![]() |
|---|
| apigee debug |
GCP apigee 세션을 진행하다보니 각 호출에 대해 디버깅 할 수 있는 Step이 있어 기록으로 남겨본다.
REST 응답에 meta data를 포함하는 것
![]() |
|---|
| rest 응답에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방식 |
REST API 설계의 기본이라는 동영상을 보다보니, 데이터 이외에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내용이 나온다.
REST를 구성하면서 한 번도 생각해 본적이 없는 것이라 살짝 당혹스럽다.
물론 차세대라고 불리는 SI 할 때는 응답전문에 복수의 배열이 포함될수 있음으로 배열명과 동일한 _변수를 반드시 선언하는 식으로 많이들 하긴 했었다만.
이것을 좀더 나이스한 메타정보로 어찌해 볼 생각은 왜 못했을까 싶다.
![]() |
|---|
| GET, POST의 용법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한다 |
물론 기본은 기본이지만 나는 대부분 GET과 POST로 모든것을 다 처리하고 있었는데 말이다.
DungBeetle
700만개의 postgres table이라는 좀 자극적인 발표를 보고.
Dung Beetle을 찾아서 테스트 해본다.
- 생각보다 설정이 간단하다. toml파일 하나로 된다.
- SQL폴더에 복수의 SQL File이 있어도 된다.
- 결과 테이블은 매 요청마다 새로 생성 될 수 있다.
- 700만명의 정보라기 보다는 700만번의 request가 아니었을까 싶다.
- table name에 대해서 고민을 좀 잘하면 될 거 같다.
prefect cloud lgoin
![]() |
|---|
| Prefect 인증화면 |
Prefect를 살펴보기 위해서 Cloud에 sigin in 한 다음 따라하고 있었는데 말이다.
local cli에서 prefect module을 설치하고 cloud + login 파라메터로 실행을 하니, 진행중인 웹브라우저로 인증을 한다.
당연히 web을 통한 인터페이스만 제공되는 줄 알았는데, local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어떤의미일런지.
![]() |
|---|
| Prefect local deploy 화면 |
한참을 뒤지다가 local에서 server를 띄우고 deploy를 실행 해 본다.
이런 CLI에서 본격적으로 select하는 녀석은 오래간만이다.
star vs. snowflake
dbt를 보다가 보니 이런 저런 내용이 나오는데, 누군가 star schema에 대한 언근이 있어 찾다가 MS의 Understand star schema라는 페이지를 찾았다.
좀더 구체적인 비교를 찾아 질의 해 본다.
1. 구조 (Structure)
Star Schema
- 중앙에 하나의 팩트 테이블이 있고, 이를 둘러싼 다수의 디멘션 테이블로 구성됩니다.
- 디멘션 테이블은 비정규화된(flat) 형태로 설계되며, 각 디멘션이 별도의 테이블로 저장됩니다.
-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별 모양을 띱니다.
Snowflake Schema
- 팩트 테이블은 동일하지만, 디멘션 테이블이 정규화된(normalized) 형태로 설계됩니다.
- 디멘션 테이블이 하위 디멘션으로 분할되어 복잡한 트리 구조를 형성합니다.
- 눈송이(snowflake) 모양을 닮은 구조입니다.
2. 정규화 수준 (Normalization)
Star Schema
- 디멘션 테이블이 비정규화(denormalized) 되어 있습니다.
- 하나의 디멘션 테이블에 모든 속성이 포함되며, 중복 데이터가 있을 수 있습니다.
Snowflake Schema
- 디멘션 테이블이 정규화(normalized) 되어 있습니다.
-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디멘션 속성을 여러 테이블로 나눕니다.
3. 복잡도 (Complexity)
Star Schema
- 구조가 단순하여 이해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합니다.
- 쿼리가 간단하고 빠르게 실행됩니다.
- 데이터 웨어하우스 설계 초보자나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Snowflake Schema
- 구조가 복잡하며, 이해 및 유지 관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정규화로 인해 테이블 간 조인(join)이 많아 쿼리 성능이 떨어질 수 - 있습니다.
- 대규모 데이터 웨어하우스나 복잡한 데이터 관계를 다룰 때 유리합니다.
4. 성능 (Performance)
Star Schema
- 조인이 적어 쿼리 성능이 일반적으로 더 우수합니다.
- 디스크 공간 사용량은 더 많을 수 있습니다(중복 데이터 때문).
Snowflake Schema
- 정규화로 인해 조인(join) 작업이 많아 쿼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디스크 공간 사용은 더 적습니다(중복 데이터가 제거됨).
5. 사용 사례 (Use Cases)
Star Schema
- 단순한 데이터 분석과 빠른 응답 시간이 필요한 경우.
- BI 도구나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에서 자주 사용됨.
Snowflake Schema
-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정규화를 통해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려는 경우.
- 복잡한 데이터 관계를 명확히 표현해야 하는 경우.
비교 요약
| 특성 | Star Schema | Snowflake Schema |
|---|---|---|
| 구조 | 비정규화된 단순 구조 | 정규화된 복잡한 구조 |
| 데이터 중복 | 있음 | 없음 |
| 성능 | 쿼리 성능이 우수 | 조인으로 인해 성능 저하 가능 |
| 설계 복잡도 | 낮음 | 높음 |
| 디스크 공간 사용 | 더 많이 필요할 수 있음 | 더 적게 필요함 |
Rust + String
![]() |
|---|
| Rust에서 문자를 파라미터로 넘기는 모습을 봐라 |
새해들어서 어떻게든 호기심을 유지하려고 한 해 동안 모아두었던 링크들을 정리하고, 하나씩 해 보고 있다.
Rust의 경우. 첫 번쩨 빌드하기 위한 소스의 구조를 toml에 기술해줘야 한다는 것은.. 뭔 그럴수 있다고 치자.
그 다음 파라미터를 좀 보면서 문자열을 넘기는 부분을 보다 아연실색한다.
그리고 좋다고 생각한다.
형식은 언제나 익숙해지기 마련이다. 생각을 잘 하면 매우 유용 할 것이고, 가변적인 상황을 전부 상정해서 어떻게 하려면.. 아마 방법이든 패턴이든 라이브러리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