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ow you will find pages that utilize the taxonomy term “Docker”
startup은 되는데 setup은 안되는 이유? (Docker+OracleXE)
startup은 되는데 setup은 안된다.
![]() |
|---|
| 컨테이너를 시작 할 때마다 Script가 실행되고 있다. 이걸 바라는건 아니다. |
Oracle Docker Image설명에도 분명하게 나와있는 사항이기는 한데.
Docker Image를 만들면서 초기 Script를 넣어두는 작업을 하다가 보니 startup에 넣어둔 sql은 매번 구동이 되는데, setup에 넣어둔 sql은 처음 한 번만 실행 될 것을 기대했으나. (실행이)안된다.
setup에 DBMS, User를 생성하는 SQL을 넣어두러고 했던 것이다.
포기하고 다른 방법을 찾는다.
![]() |
|---|
| 빌드를 완료하고 화면상에 스크립트를 호출하는 명령을 출력한다. |
하루정도 투자 해서 이리해보고 저리해보다 포기하고 궁여지책으로 명령어를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알아서 잘 사용해야 한다.
UUID V7과 DBMS (feat. harlequin)
![]() |
|---|
| VSCode terminal에서 harlequin을 실행한 모습 |
Mariadb Docker 환경(Github)을 하나 만들어 두려고 Dockerfile을 만지작거리고 있다보니 얼마전에 Geeknews에서 본 harlequin과 uuid를 PK로 가지는 것에 대한 논의가 혼합되면서 이왕이면 하는 생각으로 적용시켜보기로 한다.
사실 UUID의 경우 프로젝트에서 interface 전문의 PK로 많이 사용하기는 했지만, V4였기 때문에 조금 아쉬움이 있었다.(내가 생성하는 주체가 아니었기 때문에 V7으로 못했었다.)
mariadb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uuid() function은 아마도 v1인거 같아 따로 function을 만들어 넣었는데, 데이터 생성후 성능테스트까지는 안해봤다.
harlequin은 처음에 host에서 구동 할 생각이었으나, 특정 작업을 진행하는 도구로서 terminal은 언제나 아쉬움이 있기에 함께 넣어봤다.
Jekyll + Docker
Blog를 Jekyll로 설정하고 나서, 여러 환경에서 글을 쓰고 deploy하는 것이 살짝 어렵고 있었다.
다른건 그러려니 하는데 매번 Ruby와 Jekyll을 설정하는 것이 번거롭다고 느낀것이다.
환경을 Docker로 올리려고 하다가 보니.
- Jekyll image가 한 번에 올라오지 않았다
- Ruby image도 안된다
결국 날 Ubuntu에 한땀 한땀 설치를 해 보기로 한다.
이러저런 시도끝에 문제가 되는 부분은 mini_racer라는 Gem이 참조하는 node의 folder명에 대한 것이었다.
/usr/bin/ld: cannot find /var/lib/gems/3.2.0/gems/libv8-node-21.7.2.0-x86_64-linux/vendor/v8/x86_64-linux-gnu/libv8/obj/libv8_monolith.a: No such file or directory
libv8-node를 설치하면 “x86_64-linux"이라는 폴더가 구성이 되는데 mini_racer는 “x86_64-linux-gnu"라는 것에서 libv8_monolith.a 파일을 찾고있는 문제인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