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ow you will find pages that utilize the taxonomy term “Jekyll”
Jekyll + Docker
Blog를 Jekyll로 설정하고 나서, 여러 환경에서 글을 쓰고 deploy하는 것이 살짝 어렵고 있었다.
다른건 그러려니 하는데 매번 Ruby와 Jekyll을 설정하는 것이 번거롭다고 느낀것이다.
환경을 Docker로 올리려고 하다가 보니.
- Jekyll image가 한 번에 올라오지 않았다
- Ruby image도 안된다
결국 날 Ubuntu에 한땀 한땀 설치를 해 보기로 한다.
이러저런 시도끝에 문제가 되는 부분은 mini_racer라는 Gem이 참조하는 node의 folder명에 대한 것이었다.
/usr/bin/ld: cannot find /var/lib/gems/3.2.0/gems/libv8-node-21.7.2.0-x86_64-linux/vendor/v8/x86_64-linux-gnu/libv8/obj/libv8_monolith.a: No such file or directory
libv8-node를 설치하면 “x86_64-linux"이라는 폴더가 구성이 되는데 mini_racer는 “x86_64-linux-gnu"라는 것에서 libv8_monolith.a 파일을 찾고있는 문제인 것이다.
Jekyll VSCode Extension
![]() |
|---|
| VSCode에서 실행한 메뉴 |
증미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동안 이것저것 만들고나서는 블로그에 갱신하려고 보니 여간 귀찬은 것이 아니다.
그 귀찬음의 가장 주요한 원인을 가만 생각해보니, 하나의 post를 만들 때 마다, markdown파일을 복사하고 에디팅하고.. 지친 다음에 글을 쓰고자 했던 것이다.
일전에 Jekyll Admin을 시도해봤지만, 내 취향은 아니었고.
그래서 VSCode Extension을 만들기로 한다.
가장 기본적인 내용은 MS가 제공하는 Your First Extension에 다 나와있으나, GPT의 힘을 살짝 빌려 만들어본다.
- package.json에서 vscode version을 변경하는 것으로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 만들어진 extension을 게시 할 것인지 고민했으나.. vsce를 설치하고 *.vsix 파일로 제공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라 생각해서 그렇게 한다.
Jekyll-Admin을 발견하다
Headless CMS쪽을 살펴보다 Jekyll-Admin이라는 녀석을 발견했다.
재미있다 생각하고 설치를 해보고, 어찌 사용을 해 보려 하는데..
그냥 VSCode에서 snippet을 설정하는게 속편하겠다는 생각이 드는 이유는 뭔가 싶다.
Jekyll Theme al-folio
거의 1년 만에 미뤄뒀던 블로그를 아니 Jekyll을 다시 꺼내, 일요일 아침부터 만지작거리기 시작한다.
처음 시작 할 때는 Jekyll은 커녕 Ruby라는 것이 있는것만 알았지, 처음 써보는 상황이었다.
물론 지금도 Ruby를 사용하는건 아니다. Gemfile에 대해 알았을 뿐이다.
일요일 아침부터 시작한 Jekyll을 재 설정하면서 무료 Theme를 몇 개 섭렵해 봤는데, 그래도 1년 전에 깔짝거려 본 경험이 있어 그런지 al-folio를 발견하고는 몇 시간에 걸쳐 찬찬히 이주 작업을 했다.
그 사이에 Google Domain에서 blog host를 등록하고 Let’s Encrypt 인증서도 등록해야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