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ow you will find pages that utilize the taxonomy term “Marketing”
더 나은 쥐덫. 지인과의 대화
1979년의 로저 칼란톤과 로버트 쿠퍼가 200개 제품을 조사하여 발표한 실패하는 제품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그 중 압도적인 수치인 28%가 ‘더 나은 쥐덫’이었다. 문제의 핵심은 ‘더 나은 쥐덫’이 아니라 ‘쥐를 잡는 것’에있었기 때문이다.
제품을 기획하고 현장에서 제품을 고객에게 인도하는 컨설팅을 하다보면, 중요한 딜레마에 빠지는 사항이 있습니다.
- 고객이 해 달라는 데로 해주는 것이 과연 잘하는 일인가?
- 이런 (내가 원하는) 기능을 고객에게 강권 :O 하는 일이 잘하는 일인가?
분명 시장에서 원하는 문제의 핵심인 ‘쥐를 잡는것’에 충실 하도록 일을 마무리 하면, 큰 무리는 없을것입니다만.
오라클은 이들 제품과 필적할 만한 제품들을 갖고 있었을까?
그러면 당시 오라클은 실제로 이들 제품과 필적할 만한 제품들을 갖고 있었을까? 아니었다. 그러나 오라클은 경쟁업체들보다 먼저 제품을 발표했다. 이것이 주효했다. 실제 고객들이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을 구입할 때쯤에 오라클은 경쟁업체들과의 기술 격차를 거의 해소했다. 사실 대부분의 실용주의자들은 당장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호환성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길 기대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단지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어떤 가능성이 존재하는지를 알고 싶었을 뿐이었다. 그런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오라클은 선도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 캐즘마케팅(완전개정판) 86P –